다트 게임
🗝️ 작성 코드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String dartResult) {
int answer = 0;
String[] dart = dartResult.split("");
int[] score = new int[3]; // 점수
int index = -1; // score index
for(int i=0; i<dart.length; i++) {
// 숫자인지 확인
if(dart[i].matches("[0-9]")) {
index++;
score[index] = Integer.parseInt(dart[i]);
// 두자리 수 숫자?
if(dart[i+1].matches("[0-9]")) {
score[index] *= 10;
i++;
}
}
switch(dart[i]) {
case "D":
score[index] = (int)Math.pow(score[index], 2);
break;
case "T" :
score[index] = (int)Math.pow(score[index], 3);
break;
case "*" :
score[index] *= 2;
if(index - 1 >= 0) score[index-1] *= 2;
break;
case "#" :
score[index] *= -1;
}
}
for(int s : score) {
answer += s;
}
return answer;
}
}
어떻게 푸냐며 한숨 쉬는 시간이 문제 푸는 시간보다 더 길었다.
코드 짜는 시간이 짧았다는 것이 아니라 이틀동안 쳐다보면서 어휴...하고 3일째에 풀기 시작해서 그렇다.
아무래도 문자열 하나하나 나눠서 확인하는 방법이 가장 좋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split()로 문자 하나하나 나눠서 문자열 배열 dart에 저장했다.
그리고 세차례의 점수를 보관할 정수형 배열 score도 만들었다.
score의 인덱스로 사용할 index는 숫자가 보일때마다 +1해줄 것이므로 -1로 해놨다. 그래야 첫번째 숫자에서 0으로 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숫자가 보일때마다 +1해주는 이유는 해당 인덱스에 넣은 숫자로 추가계산을 해야하기 때문이다.
dart의 요소가 숫자에 해당하는 지 정규표현식 [0-9]으로 확인했다. 숫자가 맞다면 index를 증가시켜주고 score에 해당 숫자를 삽입한다.
근데 만약에 점수가 10점이라서 두자리 수라면?
그래서 다음 dart의 문자도 숫자라면 score를 10 곱해줬다.
만약 점수가 10점까지 있는게 아니라 더 있는 거라면 score[index] = 10가 아닌 score[index] = score[index]10 + Integer.parseInt(dart[i++])을 써주고 아래의 i++을 지웠을 것이다.
숫자인지를 확인했다면 이제
Single(S), Double(D), Triple(T)인지와
스타상(*) , 아차상(#)인지를 확인하면 된다.
여기선 특별하게 따로 체크해줘야할 사항이 없어서 switch-case문을 사용했다. (if문보다 코드가 깔끔하게 나올 것 같아서ㅎ)
dart의 요소가 D나 T라면 Math.pow()를 이용해 거듭제곱을 해준다.
*이라면 스타상이므로 해당 점수를 두배로 해주고 만약에 score에 이전 값이 존재한다면(index - 1이 0 이상이라면) 이전 점수도 두배로 계산한다.
#은 아차상이므로 해당 점수에 -1을 곱해준다.
for문이 종료되면 각 차례의 점수가 score에 저장되어 있으므로 answer에 합해준다.